콜킨정 (Colchicine)
- Tubulin의 polymerization을 억제 = 미세소관 붕괴
→ 호중구(neutrophil)의 미세소관이 붕괴되어 항염증 작용
▶ 콜킨 구내염 치료
콜킨은 주로 백혈구 중 호중구의 기능을 억제하여 염증반응 억제한다.
혈관염을 조절하는 역할로 구강궤양에 사용할 수 있다.
-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에 쓰이는 용량
1.5 ~ 1.8mg/day로 쓰인다. ( = 3T/day)
▶ 콜킨의 변비치료
adenylate cyclase 활성을 자극하고 공장 점막에서 더욱 뚜렷하게 점막 prostaglandin E2와 cAMP의 농도를 높였다.
점막 prostaglandin E2와 cAMP의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내강에 물이 축적되어 설사를 유도한다.
NSADIs나 스테로이드제로 prostaglandin E2 합성을 억제했을 때 설사를 멈추는 것으로 뒷받침
▶ 콜킨의 오프라벨
- 연골석회증 (가성 통풍, Pseudo-gout)
- 급성, 재발성 심막염
- 스위트 증후군
*스위트 증후군 : 발열과 함께 붉은 구진과 결절이 조밀하게 피부에 나타나는 것.
누르면 통증이 있고 진피부에 호중구 침윤이 관찰되는 피부질환이다.
Q. 콜킨정 복약상담시 주의사항
A. 위장관 부작용이 가장 흔하다.
설사, 오심,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다.
(설사시 용량 감소 필요)
백혈구감소증으로 감염의 위험이 있어 열이 날 수 있다.
'Off-lab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데놀(Propranolol), 딜라트렌(carvedilol) 피부과 처방 (0) | 2021.03.11 |
---|---|
슈도에페드린(액티피드, 슈다페드) 치과 처방 이유 (2) | 2021.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