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f-label 3

통풍약 콜킨(Colchicine) 구내염, 변비 치료 (오프라벨)

콜킨정 (Colchicine) - Tubulin의 polymerization을 억제 = 미세소관 붕괴 → 호중구(neutrophil)의 미세소관이 붕괴되어 항염증 작용 ▶ 콜킨 구내염 치료 콜킨은 주로 백혈구 중 호중구의 기능을 억제하여 염증반응 억제한다. 혈관염을 조절하는 역할로 구강궤양에 사용할 수 있다. -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에 쓰이는 용량 1.5 ~ 1.8mg/day로 쓰인다. ( = 3T/day) ▶ 콜킨의 변비치료 adenylate cyclase 활성을 자극하고 공장 점막에서 더욱 뚜렷하게 점막 prostaglandin E2와 cAMP의 농도를 높였다. 점막 prostaglandin E2와 cAMP의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내강에 물이 축적되어 설사를 유도한다. NSADIs나 스테로이드제로 p..

Off-label 2021.04.01

인데놀(Propranolol), 딜라트렌(carvedilol) 피부과 처방

인데놀(Propranolol) : 1세대 비선택적 베타 차단제 딜라트렌(carvedilol) : 3세대 비선택적 베타 차단제 (알파, 베타 동시 차단) 안면홍조를 가라앉히기 위한 약물 처방으로 나온다. 자율신경에 의한 얼굴 피부의 과도한 혈관 확장을 억제하는 효과로 쓴다. 피부의 beta2 adrenergic receptor에 작용해서 혈관 수축을 유발하는 기전이다. 베타차단제이기 때문에 서맥, 부정맥, 저혈압, 저혈당, 천식, 건선이 있을 때 사용하지 않는 것이 추천된다. Q. 왜 알파 수용체까지 작용하는 딜라트렌도 쓰는 것일까? A. 딜라트렌은 혈중 LDL 수치를 낮추어 LDL로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떨어트리는 기전도 가지고 있다. 심장병 환자에게 동맥경화, 죽상경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입증되었다. 같은..

Off-label 2021.03.11

슈도에페드린(액티피드, 슈다페드) 치과 처방 이유

액티피드정, 슈다페드정(pseudoephedrine)은 호흡기 점막의 알파-1 수용체에 작용하여 혈관을 수축시킨다. 1. 치과 치료의 발치 후 이뿌리가 부비동막에 구멍을 내어 구강 상악동 누공이 생길 수 있다. 대부분 2~3주 후 자연 치유되나 상악동염이 있는 환자의 경우 염증이 누공을 통해 잇몸으로 내려와 자연 치유 가능성이 떨어진다. 이때 수술적 치료를 위해 수술요법 전 약물처치로 수도에페드린, 옥시메타졸린 등의 비충혈제거제를 사용한다. 비충혈 제거제는 부비동을 비우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14일간 복용한다. 페니실린계 또는 퀴놀론계 항생제와 동시 복용한다. 2. 수도에페드린의 혈관 수축작용을 이용하여 발치 후 지혈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 1. 주로 수술 후 콧물 예방을 위해 쓰인다. 수술 후 코..

Off-label 2021.02.18